간헐적 수요란?
- 시계열 데이터에서 꾸준하게 수요가 있는것이 아닌 간헐적으로 수요가 있는것을 말한다. 트랜드와 다르게 값이 0에 수렴할때가 있는 모형이다 (예: 강수량 데이터, 판매량 데이터)
Croston 모델은 2가지를 예측한다. 첫번째는 0 이 아닌 수와 0 이 아닌 수까지의 시간 (거리) 를 측정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의 특징은 0 이 아닌 Demand 가 일어난 후 forecast 값이 업데이트 되는 특징을 가졌다.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판매량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해보자.

주말에 판매량이 올라가나, 문을 닫는 날에는 판매가 없어서 수요예측 모델을 사용하기 어려움이 있다.
Croston Model은 이러한 경우에 사용할수 있는 모델로, 0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위 예측은 Croston 모델을 사용하여 예측한 값이다. 실제 데이터도 아니고 데이터양도 적어서 성능이 좋지않지만, 손으로 계산하고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서 추가해 보았다. 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사용한다 하여도 일반적인 시계열 모델에 비교하여 결과가 좋진 않은 경우가 많다. 이 모델의 특징은 실제 수요(Demand)가 일어난 시간을 예측한다는데 의미를 가지는 모델이다.
반응형
'2. Data Science Basics > Statist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장. Descriptive Statistics (0) | 2021.09.06 |
---|---|
Statistics 기본 편 - Preview (0) | 2021.08.25 |
댓글